스타트업 회계,세무/법인의 설립과 장부의 기록: 사업 초기에 꼭 알아야 할 것

법인 설립, 세무 회계는 언제부터 시작하나요?

대륜회계법인 공인회계사 이택구 2025. 5. 2. 07:32

법인 설립, 세무 회계는 언제부터 시작하나요?

처음 법인을 설립하고 사업을 시작하면, 이런 고민 많이 하시죠?
“회계장부는 언제부터 써야 하나요?”
“세무 회계는 언제부터 신경 써야 하나요?”
이 글에서 그 타이밍을 확실하게 짚어드릴게요.

1️⃣ 법인 설립 = 회계의 시작

법인을 설립하면 그 순간부터 회계기장을 해야 하는 의무가 생깁니다.
개인사업자는 일정 조건에서 장부 생략이 가능하지만, 법인은 무조건 복식부기로 장부를 기록해야 해요.

즉, 법인등기일 = 회계 시작일이 되는 거예요. 설립 후엔 바로 기장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2️⃣ 사업자등록과 동시에 기장 준비

법인설립 후엔 사업자등록을 하게 되죠.
이 시점부터는 모든 매출·비용·자금 흐름을 빠짐없이 기록하는 게 중요해요.

특히 아래 항목들을 꼭 챙기세요:

  • 법인 명의 통장 & 체크카드 개설
  •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 등 증빙자료 수집
  • 초기 자본금 입금 내역 / 주주 명부
  • 각종 계약서 (임대차, 용역 등)

👉 회계의 기본은 “증빙이 있는 거래만 인정된다”는 점!
종이든 PDF든 자료를 모으는 습관을 들이는 게 첫 걸음입니다.

3️⃣ 장부를 쓰지 않으면 생기는 불이익

간혹 “아직 매출도 없고 준비 중인데 굳이 장부까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방심했다가는 나중에 세무조사에서 큰 불이익이 생길 수 있어요 😣

  • 장부 미작성 → 추계과세 위험
  • 무기장 가산세 등 세금 추가
  • 실제보다 높은 소득으로 세금 폭탄

👉 회계장부는 절세의 방어 수단입니다.
초기부터 기초 자료와 장부를 잘 챙기는 게 가장 현명한 절세 전략이에요.

✅ 정리하면

단계 해야 할 일
법인설립 회계의무 발생 (복식부기 시작)
사업자등록 기장 준비, 증빙자료 수집
설립 직후 통장/카드 개설, 자본금 입금, 계약서 확보
매달 장부 작성 및 회계정리

💬 마무리 Tip

모든 걸 혼자 하기 어렵다면, 세무대리인과 기장계약을 맺는 것도 좋아요.
요즘은 카카오채널로 온라인으로도 상담이 가능하니, 부담 없이 문의해보세요 😊

다음 글에서는 ‘사업자등록 후 챙겨야 할 세무 체크리스트’를 다룰게요!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상담예약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