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등록 한 날부터 세무기장을 해야 하나요?
법인을 설립하고 사업자등록증을 받은 날,
이제부터는 세금과 회계에 본격적으로 신경 써야 할 시점입니다.
그럼 정말 그날부터 장부를 써야 할까요?
이 글에서 그 해답을 드릴게요.
📅 사업자등록일 = 회계 시작일
법인의 회계는 등기일을 기준으로 시작되지만,
실제 거래는 대부분 사업자등록일 이후에 발생하죠.
그래서 이 시점부터 기장과 증빙 수집을 시작해야 해요.
- 법인 명의 통장/카드 개설
- 홈택스에서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등록
- 지출 시 증빙자료 수집 (세금계산서, 영수증 등)
- 용역계약서, 임대차계약서 등 확보
※ 만약 통장이 아직 없다면, 개인 명의 카드·계좌로 지출한 내용도
가능한 한 증빙을 확보해서 회계에 반영해두세요.
⚠️ 증빙 없이 사업하면 생기는 문제
- 지출자료 누락 → 비용 인정 안 됨
- 부가세 환급 불가
- 장부 부실 시 소득 추정 과세 가능성 ↑
👉 엑셀로라도 장부를 시작하는 게 나중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 거래가 거의 없어도 장부 써야 하나요?
A. 네. 소액이더라도 통장 입출금, 임대료, 세금계산서 등은 회계에 반영되어야 해요.
Q. 대표자 개인 카드 쓴 것도 비용 인정되나요?
A. 사용 목적이 명확하고 증빙이 있다면 가능합니다.
카드내역, 영수증, 사용내역 메모 등을 꼭 남겨두세요.
✅ 요약
업무 | 등록 직후 해야 할 일 |
---|---|
회계 | 통장 개설, 장부작성 시작 |
세무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등록 |
증빙 | 영수증, 세금계산서, 계약서 확보 |
주의사항 | 개인 자금 사용 시에도 증빙 확보 |
💬 마무리 Tip
세무기장은 미룰수록 손해입니다.
작은 규모라도 지금부터 장부와 증빙을 꼼꼼히 챙겨두세요.
다음 글에서는 엑셀로 기장 시작하는 법을 소개할게요. 궁금한 점은 댓글이나 메시지로 남겨주세요 😊
'스타트업 회계,세무 > 법인의 설립과 장부의 기록: 사업 초기에 꼭 알아야 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무대리인 없이 기장해도 될까요? (2) | 2025.05.02 |
---|---|
복식부기? 단식부기? 무슨 차이죠? (0) | 2025.05.02 |
장부, 꼭 회계 프로그램 써야 하나요? (0) | 2025.05.02 |
법인 설립, 세무 회계는 언제부터 시작하나요?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