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frs 4

상장 예비심사 청구 전, 꼭 준비해야 할 재무자료

상장 예비심사 청구 전, 꼭 준비해야 할 재무자료상장을 앞두고 **예비심사 청구**를 준비할 때, 회계팀과 CFO가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이 있어요.“도대체 어떤 재무자료를 갖춰야 하나요?”이번 글에서는 상장예비심사 전 꼭 준비해야 할 핵심 재무자료를 항목별로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❶ 최근 3개년 재무제표 (K-IFRS 기준)예비심사 청구 시점 기준으로 직전 3개년도 재무제표가 필요해요.K-IFRS 연결 기준이며, 감사보고서 포함입니다.❷ 반기 또는 분기 재무제표 및 검토보고서심사청구일 이전 마지막 반기 또는 분기의 검토보고서도 제출 대상이에요.상장심사 시 최근 실적 추이가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❸ 지정감사인 감사보고서최근 사업연도 감사는 금감원에서 지정한 감사인이 수행해야 하고,반드시 적정의견이 나와..

K-IFRS 전환 절차 – 준비부터 적용까지 단계별 가이드

K-IFRS 전환 절차 – 준비부터 적용까지 단계별 가이드K-IFRS는 단순히 회계 기준만 바꾸는 게 아니에요.회계정책, 재무제표 형식, 내부통제, 공시 시스템까지 함께 바뀌는 하나의 전사적 프로젝트에 가까워요.이번 글에서는 K-IFRS 전환을 처음 시작할 때 무엇부터,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 ❶ 사전 진단 – 우리 회사에 맞는 전환 시점 찾기가장 먼저 해야 할 건 의무 적용 대상인지 여부 파악이에요.상장사 or 상장 예정 기업인가요?금융기관, 공기업 등 법적 적용 대상인가요?자회사 또는 모회사가 K-IFRS를 이미 쓰고 있나요?그리고 전환 목표 시점을 설정해야 해요.보통 전환 1~2년 전부터 준비를 시작하면 좋아요. ❷ 차이 분석 – 현재 회계처리와 K-IFRS 비교K-GA..

K-IFRS vs 일반기업회계기준 – 뭐가 다른가요?

K-IFRS vs 일반기업회계기준 – 뭐가 다른가요?K-IFRS(국제회계기준)는 일반기업회계기준(K-GAAP)보다 복잡하고 공시가 많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셨을 거예요.하지만 그 차이는 단순히 복잡함의 문제가 아니라, 회계를 바라보는 관점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에요.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가장 자주 마주치는 핵심 차이점 5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해볼게요 😊 ❶ 원칙 중심(K-IFRS) vs 규칙 중심(K-GAAP)K-IFRS는 원칙(Principle) 중심 회계예요.상황에 맞게 판단해야 할 여지가 많고, 전문적 해석과 회계정책 설정이 중요해요.반면, K-GAAP은 규정(Rule) 중심으로 어떻게 회계처리할지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어요.💡 K-IFRS는 자율성이 있는 대신 책임도 커요.감사인과의 협의도 꼭 필요해..

K-IFRS 전환이 필요한 회사는?

K-IFRS 전환이 필요한 회사는?국제회계기준(K-IFRS), 많이 들어보셨죠?요즘은 상장사뿐 아니라, 비상장 스타트업·중소기업도 전환을 고려하는 사례가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그럼 어떤 회사가 꼭 K-IFRS로 전환해야 하고,또 어떤 회사는 선택적으로 도입하면 좋을까요?이번 글에서는 K-IFRS 적용 대상, 전환 이유, 실무 상황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❶ K-IFRS, 꼭 써야 하는 회사는?다음 회사들은 K-IFRS를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해요:유가증권시장(KOSPI) 상장기업코스닥 상장기업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일부 법적 규제 대상 기업또한, 상장사나 금융기관의 자회사로서 연결 재무제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에는 모회사 기준에 따라 K-IFRS를 적용해야 할 수도 있어요.💡 참고: 일반기업회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