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투자 3

투자 이후 주주 간 계약 – 경영권과 Exit 조건 체크하기

투자 이후 주주 간 계약 – 경영권과 Exit 조건 체크하기투자를 받는 순간부터, 회사에는새로운 이해관계자(주주)가 생기게 돼요.이때 단순한 투자계약서 외에도주주 간 계약(SHA: Shareholders Agreement)을 따로 체결하는 경우가 많아요.이번 글에서는 투자 이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SHA에서 꼭 확인해야 할 핵심 조항들을 정리해봤어요. ❶ 이사회 구성 조항투자자가 일정 지분 이상을 확보하면이사회 참여권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예: “20% 이상 보유 시 이사 1인 추천 가능”💡 이 조항은 단순한 자문 수준인지,실제 의결권까지 포함되는지꼭 체크해보셔야 해요. ❷ 공동매도요청권 (Drag-Along)대주주가 회사 전체를 매각할 때, 소액주주에게도 지분 매각을 강제할 수 있는 권리예..

우리 회사에 맞는 투자 방식 – 단계별 자금조달 전략

우리 회사에 맞는 투자 방식 – 단계별 자금조달 전략투자유치 방식은 회사의 상황, 성장 단계, 투자 목적에 따라 달라져야 해요.모든 스타트업에 RCPS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SAFE가 항상 좋은 것도 아니에요.이번 글에서는 시드 → 프리A → 시리즈 A~C 단계별로 어떤 방식의 자금 조달이 효과적인지 전략적으로 정리해봤어요. ❶ 시드 단계 – 빠르고 단순하게: SAFE 또는 보통주아직 법무/회계 리소스가 부족한 초기 단계에서는 계약서가 단순하고 협상이 빠른 SAFE 방식이 적합해요.또는 공동창업자/엔젤투자자 중심이라면 보통주 직접 투자도 자주 사용돼요.💡 포인트는 “속도와 관계 중심”.거래 구조보다는 사업 자체에 집중할 수 있는 방식을 택하는 게 좋아요. ❷ 프리A 단계 – 조건을 걸기 시작: RCP..

SAFE? RCPS? 몰라도 괜찮아요 – 스타트업 투자계약의 기초 이해

SAFE? RCPS? 몰라도 괜찮아요 – 스타트업 투자계약의 기초 이해투자를 받으려고 계약서를 열어보면낯선 용어들이 한가득이에요. SAFE? RCPS? 전환권? 희석방지?처음 보면 막막하지만, 핵심 구조만 이해하면 금방 감이 오기 시작해요.이번 글에서는 투자 계약서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을처음 보시는 분도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어요. ❶ SAFE – 간편한 약정 계약SAFE는 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의 약자로,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만들어진 간단한 투자 계약 방식이에요.쉽게 말해, 지금 투자금을 받고나중에 주식으로 전환해줄게요 라는 약속이에요.SAFE는 다음 투자 라운드가 열릴 때자동으로 일정 조건에 따라 보통주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어요.💡 만기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