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회계,세무/외부 회계감사: 언제부터 받아야 할까?

우리 회사, 외부감사 대상인가요?

대륜회계법인 공인회계사 이택구 2025. 5. 2. 08:21

우리 회사, 외부감사 대상인가요?

“우리는 아직 작은 법인인데 외부감사 받아야 하나요?”
이 질문은 회계사로서 진짜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외부감사 대상 기준과 간단한 체크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외부감사란?

외부감사는 회계법인이 회사 재무제표를 감사하는 절차예요.
기업이 작성한 회계장부와 재무제표가 신뢰할 수 있는지 제3자가 검토하는 과정이죠.

이건 투자자, 금융기관, 이해관계자에게 회사의 재무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 외부감사 대상 기준 (2024년 기준)

비상장 일반기업의 경우, 아래 기준 중 2가지 이상 해당되면 외부감사 대상입니다:

구분 기준
자산 120억 원 이상
매출액 100억 원 이상
종업원 수 100명 이상

👉 위 3가지 항목 중 **2가지 이상 해당**되면, 해당 사업연도부터 외부감사 의무가 발생합니다.

🏢 예외적으로 외감 대상이 되는 경우

  • 자산 50억 원 이상 & 부채 70억 원 이상인 경우
  • 상장 또는 코스닥 등록 준비 중인 기업
  • 금융기관과 투자 계약 등에서 감사보고서 제출이 조건인 경우

👉 회사 규모가 작아도 투자유치, 대출, IPO 준비 중이면 감사보고서를 요구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외부감사 받으면 뭐가 달라지나요?

  • 재무제표 공시 의무 발생 (감사보고서 포함)
  • 회계처리 기준 통일 – K-GAAP 또는 K-IFRS
  • 회계감사 자료 제출 필요 (계약서, 통장, 장부 등)

👉 외감 대상이 되면, 단순 장부 수준의 관리에서
제도화된 회계 관리 체계가 필요해져요.

✅ 외감 대상 간단 체크리스트

  • 📌 자산이 120억 이상인가요?
  • 📌 연 매출이 100억 이상인가요?
  • 📌 직원 수가 100명 이상인가요?
  • → 이 중 2개 이상 YES면 외감 대상!

💬 마무리 Tip

외부감사는 회계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경영자, 재무팀, 현장 실무자까지 모두 준비해야 하는 전사적 대응이에요.

다음 글에서는 외부감사 준비 시 꼭 챙겨야 할 자료와 실무 스케줄을 정리해드릴게요 😊

 

상담예약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