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감사 실무, 이렇게 진행됩니다
회계감사는 한 번도 받아보지 않으면 막막하죠.
“감사인이 뭘 하러 오지?”, “우리는 뭘 준비해야 하지?”
이번 글에서는 외부감사의 전체 흐름과 단계별 실무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외부감사 진행 단계 요약
- 감사계약 체결 (감사인 선임)
- 감사계획 수립 (자료 요청 및 일정 협의)
- 본 감사 실시 (현장 방문 또는 비대면)
- 감사결과 통보 및 감사보고서 발행
👉 통상적으로 2~3월에 집중적으로 진행되며, 상황에 따라 연말 예비감사(Interim Audit)이 먼저 진행되기도 합니다.
📂 각 단계별 실무 포인트
1️⃣ 감사계약 체결
- 회사와 회계법인이 감사계약서 작성
- 감사인 지정 대상인 경우 → 지정 통지일 이후 일정 빠듯함!
2️⃣ 감사계획 수립
- 회계팀에 자료요청 리스트 송부
- 회사 담당자와 일정 협의, 자료 공유 방식 확정 (클라우드, 이메일 등)
- 회사 측 대응 담당자 1명 이상 지정
3️⃣ 본 감사
- 재무제표와 장부 비교검토
- 거래증빙 확인 (계약서, 송금내역 등)
- 입출금/잔액/재고 등 실사 또는 회신 요청
- 필요시 대표이사 또는 실무자 인터뷰 진행
👉 **이 시기가 제일 바빠요.**
자료가 깔끔히 정리돼 있을수록 빠르게 끝나고, 감사인과 좋은 신뢰 관계도 유지됩니다.
4️⃣ 감사결과 통보 & 보고서 발행
- 감사 후 질의 응답 및 미비점 수정 요청
- 최종 재무제표 확정
- 감사보고서 발행 및 공시 (전자공시/홈택스 등)
⚠️ 외부감사 중 흔한 이슈
- 가지급금/미수금 과다 → 회수계획 요구
- 증빙자료 누락 → 부정확한 회계처리로 판단될 수 있음
- 정산이 미완료된 미지급금, 외상매출 등 → 확인서 요청 가능
✅ 마무리 체크리스트
- ✔ 감사계약 체결 및 감사일정 공유
- ✔ 재무자료 정리 + 클라우드 공유
- ✔ 내부 담당자 지정 & 커뮤니케이션 창구 확보
- ✔ 감사 결과 피드백 대응 → 수정재무제표 반영 여부 확인
💬 마무리 Tip
회계감사는 단순히 “검사받는 일”이 아니라,
우리 회사의 재무 상태를 객관적으로 검토받는 과정이에요.
자료가 정리돼 있고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면
감사는 빠르고, 감사인은 만족하고, 대표님은 덜 힘들어요 😎
다음 글에서는 “감사에서 자주 나오는 지적사항 TOP 5”를 소개해드릴게요!
'스타트업 회계,세무 > 외부 회계감사: 언제부터 받아야 할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음으로 외부감사를 받는데, 재고자산이 있어요 (0) | 2025.05.09 |
---|---|
중소기업감사기준은 일반기업감사기준과 다른가요? (1) | 2025.05.09 |
감사에서 자주 나오는 지적사항 TOP5 (0) | 2025.05.02 |
외부감사, 뭘 준비해야 하나요? (1) | 2025.05.02 |
우리 회사, 외부감사 대상인가요?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