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회계,세무/외부 회계감사: 언제부터 받아야 할까?

외부감사 실무, 이렇게 진행됩니다!

대륜회계법인 공인회계사 이택구 2025. 5. 2. 08:29

외부감사 실무, 이렇게 진행됩니다

회계감사는 한 번도 받아보지 않으면 막막하죠.
“감사인이 뭘 하러 오지?”, “우리는 뭘 준비해야 하지?”

이번 글에서는 외부감사의 전체 흐름과 단계별 실무를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외부감사 진행 단계 요약

  1. 감사계약 체결 (감사인 선임)
  2. 감사계획 수립 (자료 요청 및 일정 협의)
  3. 본 감사 실시 (현장 방문 또는 비대면)
  4. 감사결과 통보 및 감사보고서 발행

👉 통상적으로 2~3월에 집중적으로 진행되며, 상황에 따라 연말 예비감사(Interim Audit)이 먼저 진행되기도 합니다.

📂 각 단계별 실무 포인트

1️⃣ 감사계약 체결

  • 회사와 회계법인이 감사계약서 작성
  • 감사인 지정 대상인 경우 → 지정 통지일 이후 일정 빠듯함!

2️⃣ 감사계획 수립

  • 회계팀에 자료요청 리스트 송부
  • 회사 담당자와 일정 협의, 자료 공유 방식 확정 (클라우드, 이메일 등)
  • 회사 측 대응 담당자 1명 이상 지정

3️⃣ 본 감사

  • 재무제표와 장부 비교검토
  • 거래증빙 확인 (계약서, 송금내역 등)
  • 입출금/잔액/재고 등 실사 또는 회신 요청
  • 필요시 대표이사 또는 실무자 인터뷰 진행

👉 **이 시기가 제일 바빠요.**
자료가 깔끔히 정리돼 있을수록 빠르게 끝나고, 감사인과 좋은 신뢰 관계도 유지됩니다.

4️⃣ 감사결과 통보 & 보고서 발행

  • 감사 후 질의 응답 및 미비점 수정 요청
  • 최종 재무제표 확정
  • 감사보고서 발행 및 공시 (전자공시/홈택스 등)

⚠️ 외부감사 중 흔한 이슈

  • 가지급금/미수금 과다 → 회수계획 요구
  • 증빙자료 누락 → 부정확한 회계처리로 판단될 수 있음
  • 정산이 미완료된 미지급금, 외상매출 등 → 확인서 요청 가능

✅ 마무리 체크리스트

  • ✔ 감사계약 체결 및 감사일정 공유
  • ✔ 재무자료 정리 + 클라우드 공유
  • ✔ 내부 담당자 지정 & 커뮤니케이션 창구 확보
  • ✔ 감사 결과 피드백 대응 → 수정재무제표 반영 여부 확인

💬 마무리 Tip

회계감사는 단순히 “검사받는 일”이 아니라,
우리 회사의 재무 상태를 객관적으로 검토받는 과정이에요.

자료가 정리돼 있고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면
감사는 빠르고, 감사인은 만족하고, 대표님은 덜 힘들어요 😎

다음 글에서는 “감사에서 자주 나오는 지적사항 TOP 5”를 소개해드릴게요!

 

상담예약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