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 주소? 집 주소? 온라인 판매자는 어디로 등록해야 하나요?
“사업자등록할 때 주소를 어떻게 써야 하나요?”
집에서 창업하는 사람, 온라인 셀러, 공유오피스 쓰는 분들 모두
한 번쯤은 이 질문을 해보셨을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상황별 사업장 주소 등록 방법과 주의할 점을 정리해드릴게요.
❶ 집에서 창업하는 경우 (자택 사업자)
- 자택도 사업장 주소로 등록할 수 있어요.
- 단, 임대차계약서상 ‘사업 목적’ 사용이 허용돼야 해요.
🧾 전세나 월세라면 → 임대인 동의서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
🏠 아파트는 업종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관리사무소 문의 필수!
❷ 공유오피스, 창업센터, 코워킹스페이스
- 요즘 많이 사용하는 공유 사무실 주소도 사업자등록에 쓸 수 있어요.
- 이 경우 사업장 임대차계약서 또는 센터에서 발급해주는 입주 확인서가 필요해요.
✅ 입주형, 사서함형, 버추얼오피스 중
세무서에서 승인 가능한 유형인지 확인하고 계약하세요.
❸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 (무점포 사업자)
- 매장을 따로 두지 않고 온라인 판매만 하는 사업자도 사업장 주소가 필요해요.
✔ 보통은 집 주소 또는 창고 주소를 씁니다.
✔ 반품 주소와 등록 주소가 다르면 고객 혼선 주의!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등에는 사업자등록 주소가 표시돼요.
❹ 임대차계약서가 없는 경우?
- 무상사용 중이라면 무상사용확인서를 첨부하면 가능해요.
- 부모님 명의의 집, 지인 소유 사무실을 쓰는 경우에 유용해요.
하지만 사업 목적 사용 가능 여부는 꼭 사전에 확인하세요.
✅ 마무리하며
사업장 주소는 단순한 등록 정보가 아니라,
세금 계산서 발행, 통신판매 신고, 세무조사 관할에도 영향을 줘요.
처음부터 정확히 설정하고, 계약서나 확인서를
사업자등록 신청 시 첨부해두는 게 가장 좋아요 😊

'창업 사업가 회계,세무 > 사업자등록: 사업자등록 절차와 필요 서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오피스, 감면받다 세무조사? 온라인 창업자 주의할 점 (1) | 2025.05.10 |
---|---|
청년이면 세금 0원?! 신기하고 화끈한 세액감면 (0) | 2025.05.10 |
사업자등록 시 자주 묻는 질문(FAQ) 모음 (0) | 2025.05.04 |
간이과세자 vs 일반과세자, 어떻게 선택할까? (3) | 2025.05.04 |
사업자등록 절차와 필요 서류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