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세 신고, 매월 10일을 잊지 마세요!
직원 급여, 프리랜서 수당, 외주비 등 인건비를 지급하셨다면?
그때마다 원천세 신고를 해야 해요.
매월 반복되는 이 신고, 헷갈리지 않도록 핵심만 딱! 정리해드립니다.
📌 원천세란?
사업자가 급여나 수당을 지급할 때, 세금을 미리 떼고 납부하는 제도예요.
즉, 소득을 지급하는 사람이 대신 신고·납부하는 구조입니다.
📅 신고 및 납부 기한
내용 | 기한 |
---|---|
원천세 신고·납부 | 지급한 다음달 10일 이내 |
예: 4월 급여지급 | 5월 10일까지 신고 |
🧾 원천세 대상 예시
- 직원 급여 → 소득세 + 4대보험 중 국민연금·건강보험 등
- 프리랜서/외주 용역비 → 소득세 3.3% (지방소득세 포함)
- 퇴직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 프리랜서에게 지급 시에도 반드시 원천징수하고 신고해야 합니다!
💻 신고 방법
- 홈택스 → [신고/납부] → [원천세] → [지급명세서 제출]
- 급여자료/소득자료 입력 → 원천징수액 자동 계산
- 전자납부 가능 (신용카드/계좌이체 등)
⚠️ 자주 하는 실수
- 기한 초과 → 가산세 부과 (무신고/납부지연 가산세)
- 프리랜서에 지급하면서 원천세 누락
- 퇴직금 지급 시 퇴직소득세 미신고
👉 소득 지급 시점 기준으로 다음달 10일까지 신고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 마무리 체크리스트
- 📌 지급한 달 → 다음달 10일 신고·납부
- 📌 급여/수당별 원천징수율 확인
- 📌 소득유형별로 지급명세서도 함께 제출
- 📌 실수 막으려면 자동 계산 시스템 활용 or 세무사와 협의
💬 마무리 Tip
원천세는 매달 신고하는 작지만 중요한 세금입니다.
조금만 늦어도 가산세가 붙기 때문에,
매월 10일은 달력에 미리 체크!
다음 글에서는 세금 신고할 때 자주 나오는 실수를 모아서 알려드릴게요 😊
'스타트업 회계,세무 > 세금의 신고: 세금의 종류, 신고 기간, 준비 서류, 꿀팁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법인이 꼭 알아야 할 이익잉여금과 결손금 (0) | 2025.05.07 |
---|---|
세금 신고 시 자주 나오는 실수 TOP5 (1) | 2025.05.02 |
법인세 신고, 3월의 공포를 피하는 방법 (0) | 2025.05.02 |
종합소득세 신고, 개인사업자라면 꼭 체크 (0) | 2025.05.02 |
부가가치세 신고, 이 타이밍에 꼭 확인하세요!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