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회계,세무/세금의 신고: 세금의 종류, 신고 기간, 준비 서류, 꿀팁 정리

스타트업 법인이 꼭 알아야 할 이익잉여금과 결손금

대륜회계법인 공인회계사 이택구 2025. 5. 7. 08:53

스타트업 법인의 절세 전략, 이것부터 알아두세요

이익이 나면 세금이 따라오고, 적자가 나도 그냥 넘기면 손해예요.
그래서 스타트업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결손금과 세액공제의 이월, 이익잉여금까지
법인세를 줄일 수 있는 핵심 전략들을 정리해 드릴게요!

❶ 이익잉여금: 회사에 남겨둔 이익

이익잉여금은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중 배당하지 않고 남겨둔 금액이에요.
재무제표에 계속 쌓이고, 향후 투자·배당·상환 등에 활용됩니다.
세무조정 시에도 일부 항목은 이익잉여금에 영향을 줘요.

❷ 이월결손금: 적자도 전략이 됩니다

과거에 적자가 났다면? 그 손실을 미래 이익에서 공제할 수 있어요.
현재는 최대 15년까지 이월 가능하고, 중소기업이라면 100% 공제도 됩니다.

💡 이익이 생겼다면 이월결손금 먼저 차감하고 세금 계산하세요!

❸ 소급공제: 적자가 나도 세금 돌려받기!

중소기업은 올해 적자가 나면, 작년에 낸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어요.
이를 결손금 소급공제라고 하며, 환급 가능한 한도 내에서 신청 가능해요.

👉 일시적인 손실이 났다면 반드시 검토해야 할 절세 전략입니다!

❹ 이월공제: 손실은 최대 15년간 보관 가능

손실이 생겼을 때 바로 못 써도 괜찮아요. 향후 15년간 이익에서 공제 가능하거든요.
단, 일반기업은 60%까지만 공제 가능하지만, 벤처기업 등은 100% 공제도 가능해요.

❺ 세액공제 이월: 못 쓴 공제, 다음 해로 넘겨요

연구·인력개발비 같은 일부 세액공제는 5~10년간 이월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연구개발세액공제는 최대 10년까지 이월이 가능하죠.

세액공제는 금액도 크고 적용 조건이 까다로워서 기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 손실은 전략적으로 남겨두고, 이익은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해요
✔️ 이익잉여금, 결손금, 세액공제는 각각 다르게 작용하지만 모두 절세 수단입니다

상담예약으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