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용 카드 써야 하나요? 매입세액 공제 받으려면?
“지출은 다 했는데, 부가세 환급은 안 된다고요?”
부가세 환급을 받으려면 단순히 돈을 쓴 게 아니라, 정해진 방식으로 증빙을 남겨야 해요.
이번 글에서는 사업용 카드, 세금계산서, 현금영수증의 차이와 부가세 환급을 위한 실무 요령을 정리해드릴게요!
❶ 사업용 카드란?
- 개인 명의 카드라도 국세청에 사업용으로 등록하면 ‘사업용 카드’로 인정돼요.
- 홈택스에서 등록 가능하고, 법인카드는 자동 사업용이에요.
✅ 사업용 카드로 결제하면 별도 세금계산서 없이도 부가세 환급 가능!
❷ 세금계산서 vs 카드매출전표
둘 다 부가세 환급용으로 인정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어요 👇
📄 세금계산서: - B2B 지출(예: 공사비, 자재, 외주비)에 많이 사용
- 거래명세서 + 전자 발급 가능
💳 카드매출전표: - 사업용 카드로 결제한 내역
- 소액 지출(예: 카페, 택시, 간식 구매)에 유리
❸ 환급 안 되는 경우는?
- 개인카드 사용 (사업용 등록 안 됨)
- 현금 결제 + 간이영수증
- 명의가 대표자 본인 아닌 경우 (예: 부모님 카드, 직원 카드 등)
❌ 이런 경우는 **지출은 비용처리만 가능**, 부가세 환급은 불가해요.
❹ 카드만 잘 써도 환급 가능!
- 사업용 카드로 결제만 잘하면 따로 세금계산서를 요청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료가 홈택스로 연동돼요.
- 특히 소액 반복 지출은 카드로만 처리해도 충분히 환급 받을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창업 초기에 사업용 카드만 잘 등록해둬도 나중에 부가세 환급, 종합소득세 절세까지 연결돼요.
“카드는 카드인데 왜 환급이 안 되지?” 👉 이럴 땐 꼭 카드 명의와 등록 여부부터 체크해보세요 😊

'창업 사업가 회계,세무 > 부가세 신고: 임차계약 및 인테리어, 재료의 매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 전에 쓴 비용도 부가세 환급 가능할까? (2) | 2025.05.05 |
---|---|
임대료, 인테리어 비용은 부가세 환급 가능할까?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