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준비 3

상장 준비 기업의 핵심 체크리스트 10가지

상장 준비 기업의 핵심 체크리스트 10가지상장을 준비한다는 건 단지 재무성과만 보는 게 아니에요.회사의 조직, 시스템, 통제, 기록, 사람까지 전방위적으로 점검받는 일이에요.이번 글에서는 실제 상장 실무에서 자주 지적되는 항목들을 중심으로10가지 핵심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드릴게요.❶ 최근 2개년 외부감사 적정 의견 확보외부감사인의 적정의견 2년치가 필수예요.회계처리에 오류나 지연이 있었다면 사전에 점검해야 해요.❷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상장예비심사 시 설계·운영·실태를 검토받아요.문서화 여부와 실제 운영 사례가 중요해요.❸ 자회사 및 특수관계자 거래 정비자금거래, 상품거래 등은 계약서, 이사회 승인, 정산내역이 필요해요.거래 명확성·형평성·정당성이 핵심입니다.❹ 주요 인력 고용계약 및 인사기록 정비..

우리 회사도 내부회계관리제도를 도입해야 하나요?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 시기와 적용 대상 정리“우리 회사도 내부회계관리제도를 도입해야 하나요?”기업이 일정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거나 상장을 준비할 때 자주 듣게 되는 질문이에요.그런데 적용 기준이 해마다 바뀌고, 회사마다 조건이 다르다 보니 실무에서 헷갈릴 수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언제, 어떤 회사에 적용되는지 핵심만 정리해드릴게요.❶ 내부회계관리제도란?내부회계관리제도는 재무제표가 정확하게 작성되도록 회사 내부에서 통제 체계를 운영하는 제도예요.회계 오류나 부정을 방지하고, 경영진이 신뢰할 수 있는 재무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치예요.미국의 SOX법에서 유래됐고,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부터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됐어요.❷ 어떤 회사가 언제부터 적용될까요?적용 여부는 연결 ..

스톡옵션의 회계처리: 비용 인식부터 주석공시 까지

스톡옵션의 회계처리: 비용 인식부터 주석공시까지스톡옵션을 부여하면 인사나 법무팀뿐만 아니라회계팀에서도 챙겨야 할 업무가 생기게 돼요.특히 비용 인식 시점과 주석공시는외부감사나 IPO 준비 과정에서 꼭 검토되는 항목이에요.이번 글에서는 스톡옵션의 회계처리를기초부터 실무 적용까지 순서대로 정리해볼게요. ❶ 회계처리는 언제부터 시작되나요?스톡옵션은 실제 주식을 행사하지 않았더라도,부여한 시점부터 회계처리가 시작돼요.즉, 계약을 체결하고 베스팅 조건이 설정되었다면회사는 그 시점부터 매년 비용을 인식해야 해요.이건 K-IFRS든 일반기업회계기준이든 공통된 원칙이에요. ❷ 비용은 어떤 방식으로 인식하나요?스톡옵션의 공정가치를 계산한 뒤,그 금액을 베스팅 기간에 걸쳐 나눠서 비용으로 인식해요.예를 들어,공정가치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