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U 3

RSU와 RSR의 차이는 무엇일까?

RSU와 RSR의 차이, 그리고 리저브(Reserve)까지 한 번에 정리해요스타트업 보상 설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게 바로 RSU와 RSR이에요.둘 다 '조건이 붙은 주식'이긴 한데, 실무에서는 세금 처리나 회계 방식이 완전히 달라요.그리고 리저브(Reserve)는 이 둘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니까 헷갈리지 않게 정리해둘게요.① RSU: Restricted Stock Unit (조건이 붙은 '주식 취득권')RSU는 말 그대로 "나중에 주식을 줄게"라는 약속이에요.예를 들어, 3년 동안 재직하면 그때 주식을 받는 구조예요.아직 주식을 받은 건 아니고, 조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어요.조건을 채우기 전에 퇴사하면, 주식은 못 받게 돼요.세무상으로는 주식을 실제로 받는 시점에 근로소득세가 발생하고,그 이후에 주식..

RSU란 무엇인가? 스톡옵션과 뭐가 다른데요?

RSU란 무엇인가? 스톡옵션과 뭐가 다른데요?최근에는 스톡옵션뿐만 아니라 RSU(Restricted Stock Unit)를 도입하는 스타트업도 점점 늘고 있어요.비용은 비슷한데, 구조는 훨씬 간단하고직원 입장에서는 실제 주식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에요.이번 글에서는 RSU의 개념과스톡옵션과의 차이점, 장단점, 설계 시 유의사항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❶ RSU란 무엇인가요?RSU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회사가 실제 주식을 무상으로 지급하는 제도예요.예를 들어, 입사 2년 차에 500주 지급,목표 달성 시 추가로 1,000주 지급하는 식으로 설계돼요.중요한 점은, 직원이 별도로 돈을 낼 필요가 없고조건만 만족하면 주식을 바로 받게 된다는 거예요. ❷ 스톡옵션과 어떤 점이 다를까요? 스톡옵션RSU기..

스톡옵션(SO)과 RSU, 뭐가 다를까?

스톡옵션과 RSU, 뭐가 다를까?스타트업을 운영하거나, 초기 멤버로 합류한 분들이라면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바로 스톡옵션과 RSU.둘 다 회사를 성장시키기 위해 구성원에게 주는 주식 관련 보상인데요,구조도 다르고, 회계나 세무적으로도 처리 방식이 꽤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두 제도의 기본 개념과 차이점을 쉽게 정리해볼게요 😊 📌 스톡옵션이란?스톡옵션은 회사 주식을 미리 정해둔 가격(행사가격)에나중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행사가가 1,000원이고나중에 회사 주식 가치가 5,000원이 되면?→ 차익 4,000원이 생기게 되는 구조예요.보통은 일정 기간 이상 근속하거나, 성과를 달성하면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베스팅(Vesting)’ 조건도 함께 설정해둡니다. 📌 RSU란?RS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