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인데 블로그 수입이 있어요.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요즘 블로그 체험단, 제휴 마케팅, 애드센스 등으로
직장인이면서 부수입을 얻는 경우가 많아졌어요. 그런데 이 수입, 세금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금인데 안 해도 되지 않나?” 생각했다가 가산세 맞을 수 있어요!
1 블로그 수익도 종합소득세 대상이에요
직장인의 근로소득은 회사가 연말정산을 해주지만, 블로그 수익은 개인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해요. ● 국내 기업 체험단 →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 ● 애드센스 → 해외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
2 소득 유형에 따라 세금이 달라져요
- 애드센스 → 국외 기타소득 or 사업소득 (15% 외국 세금 공제 가능)
- 체험단 수익 → 보통 기타소득, 60% 필요경비 인정
- 제휴마케팅 → 반복적이라면 사업소득으로 볼 수 있음
3 사업자 등록은 꼭 해야 할까?
단발성 수익이면 사업자등록 없이 기타소득으로 처리 가능
하지만 반복적이고 정기적이면 사업자 등록이 권장돼요 → 특히 제휴 마케팅이나 블로그 운영 수익이 **지속적이라면 사업소득 간주 가능**
4 해외 수익은 환율 적용도 필요해요
애드센스처럼 해외에서 받은 달러 수익은 지급일 기준의 외국환매도율로 원화 환산 후 신고해야 해요
구글은 국내에 지급명세서를 제출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입금내역·환율 직접 준비해야 합니다**
5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될까요?
국세청은 외화입금정보·체험단 지급정보를 추적해서 2~3년 후 **무신고 가산세까지 부과**할 수 있어요
특히 해외 수익(애드센스 등)은 CRS 협정을 통해 이미 정보 수집 중이에요
6 절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어요
- 기타소득은 필요경비 60% 자동 인정 가능
- 사업자라면 경비 실제 지출내역 인정 가능 (간편장부 활용)
- 애드센스 수익은 외국납부세액공제로 중복과세 방지 가능
요즘은 누구나 블로그, 유튜브, 뉴스레터로 수익을 올릴 수 있지만, 수익이 생긴 순간부터는 세금도 따라옵니다. 금액이 작더라도 신고 누락은 가산세의 씨앗이 될 수 있어요 😨
📌 직장인이라도, 블로그 수익이 생겼다면 지금 바로 점검해보세요!

'창업 사업가 회계,세무 > 종합소득세 신고2: 프리랜서 삼쩜삼, 쌤157'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도 경비처리 할 수 있나요? (3) | 2025.05.15 |
---|---|
직장인인데 해외 배당·이자소득이 있어요. 세금 신고 꼭 해야 하나요? (3) | 2025.05.11 |
받은 돈에서 쓴 돈, 경비 처리 쉽게 설명해줘요! (0) | 2025.05.06 |
사업자등록 없이 세금은 어떻게 내요? (1) | 2025.05.06 |
나도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보험설계사, 배달, 유튜버 등 꼭 봐요) (1)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