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륜회계법인 공인회계사 이택구 2025. 5. 6. 09:45

법인전환 절차와 주의사항 정리

“법인 하나 새로 만들면 끝 아닌가요?” 아닙니다 😅

법인전환은 단순히 개인사업자 폐업 + 법인 설립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기존 사업의 자산과 채무를 어떻게 넘기느냐까지 포함된 실무적 절차예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전환 방식부터 부가세, 종소세 처리까지 중요한 체크포인트를 정리해드릴게요!

❶ 전환 방식은 2가지예요

포괄양수도: 기존 사업의 자산·부채를 법인이 그대로 승계
신규설립 + 자산이전: 법인을 새로 만들고 일부만 넘김

👉 일반적으로 세무상 포괄양수도가 더 깔끔하게 이어지지만 부동산, 차량, 재고 등 자산이 많으면 이관 방식에 주의해야 해요!

❷ 기존 개인사업자는 폐업 처리해야 해요

- 법인 설립 전에 기존 사업자 폐업 신고 필요 (홈택스 또는 세무서)
- 부가가치세 신고 시점 기준으로 ‘분기 구분’ 유의!
- 폐업일 이후 새로 생긴 매출은 법인 명의로만 가능해요

❸ 세금 신고 타이밍도 헷갈리기 쉬워요

- 전환 연도의 종합소득세 (개인) → 전환 전까지의 매출 기준으로 5월에 신고 - 전환 후의 법인세는 법인 사업연도 종료 후 익년 3월에 신고

✅ 전환 시점이 연말이면 두 개의 세무 신고가 겹쳐서 바빠질 수 있어요!

❹ 사업용 자산 이전은 세무상 민감한 이슈예요

- 부가세가 붙는 자산 이전은 공급으로 간주돼 세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어요 😥
- 특히 차량, 재고자산, 임차보증금은 계약 변경 또는 이전 방식에 따라 실질적인 과세 여부가 달라져요

✅ 꼭 세무사·회계사와 사전 협의하고 진행하는 걸 추천드려요!

✅ 마무리하며

법인전환은 단순한 ‘사업자 변경’이 아니라 세금, 자산, 회계 구조까지 완전히 바꾸는 작업이에요.

✔️ 포괄양수도 or 신규설립 판단 ✔️ 부가세·종소세 신고 마무리 ✔️ 자산 이전 체크

처음이라면 세무사·회계사 도움을 받아 계획적으로 진행하는 걸 추천드려요.

그리고 꼭 기억해 주세요. 법인전환은 세금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 아니라,
‘내 사업을 어떻게 성장시킬 것인가’에 대한 경영자의 의지입니다.

방향이 맞는다면, 구조는 따라와 줘야 하니까요 😊

 

클릭하면 상담예약으로 연결됩니다.